1. 대상포진의 정의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사람 몸속에 신경절에 잠복상태로 있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대개는 면역력이 떨어지면 나타나는 증상으로 젊은 사람보다는 면역력이 약한 60세 이상 성인에게서 발병합니다.
장기이식이나 항암치료를 받아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나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환자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이 경우 젊은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병적인 증상은 피부에서 국한되지만 면역력이 크게 떨어지는 환자에게서는 전신에 퍼져서 사망에 이를 수 도 있습니다.
2. 원인
원인인 병원체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입니다. 이는 수두의 원인체와 동일한 바이러스입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라면 수두를 앓고 난 후에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체내에 남아 신경절에 잠복해 있습니다. 신체의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는 면역이 약해지면 신경을 타고 다시 피부로 내려와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염증이 전신으로 퍼지게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수두 바이러스와 동일하지만 대상포진 바이러스라고 부르며 최근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과거에 수두에 걸렸거나 세포면역의 장애가 있는 경우 잘 발생하며 고령, 외상, 백혈병, 악성종양 등이 바이러스 재활성화 유발인자로 높게 나타납니다.
3. 증상
병적인 증상으로 신경근의지각 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납니다. 심한 통증, 감각이상 동반, 붉은 반점이 신경을 따라 나타난 후 여러 개의 물집이 나타납니다. 이 물집은 수두 환자에서 나타나는 조직 검사와 동일하게 나타나다
4-5일 전부터 피부절을 따라 통증, 감각 이상이 발생하고, 가벼운 자극에도 과민 반응이 나타납니다. 피부 발진은 신경을 따라 분포되어 띠 모양을 형성하며 홍반성 구진과 반점으로 나타나며 12~24시간 내에 수포를 형성합니다.
10-14일 동안 변화를 살펴보면 고름이 차면서 점차 딱지로 변하게 됩니다. 접촉으로 인해 물집이 터지게 되면 궤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보통 2주 정도 경과 후 딱지가 생기면서 증상이 호전됩니다. 호전된 후에도 해당 부위가 계속 아프기도 하는데 이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상포진성 통증으로 노인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드물게 통증을 호소하지만 피부 병변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발생 부위는 가슴, 안면부, 허리의 빈도로 대부분 편측으로 발생합니다.
4. 치료법
치료의 표준으로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합니다. 이는 항바이러스제의 치료가 바이러스의 복제 억제, 확산 단축, 발진 치유, 통증 감소하여 신경 손상의 정도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납니다.
약물 치료로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한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등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항경련제와 항우울제의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 치료로 효과를 얻지 못한 경우 신경블록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진료과는 대상포진 내과, 피부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과가 있습니다.
5. 예방법
최근 개발된 대상포진 백신을 통해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백신은 접종한 70%의 환자의 면역력의 증가를 통한 예방을 나타냈고 대상포진 바이러스 약독화한 생백신입니다. 이 외에 대상포진을 유발할 수 있는 면역을 떨어뜨릴 수 있는 상황과 가능성을 줄여야 합니다.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 과도한 업무, 여행이나 과도한 운동 무리 등이 있고 심신이 힘든 경우 면역력 저하로 인한 재활성화가 일어나므로 이러한 상황들로 피하고 관리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은 재발 가능성이 5% 미만으로 매우 희박하지만 재발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니 몸 상태를 잘 살피며 검사를 통해 면역을 잘 관리하여야 합니다.
대상포진의 가장 큰 원인은 면역의 저하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스트레스는 모든 병의 근원이 될 만큼 이상 증상의 시초이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를 멀리하고 충분한 수면과 쉼을 통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줄일 수 없다면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상황, 즉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취미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하고 충분한 쉼을 통해 관리를 하면 증상의 개선이 이루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