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의 내용물 또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증상으로 식도에 염증을 발생하며 이와 관련하여 따라오는 불편감을 총 칭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1.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및 진단 검사
식도에 손상을 입으면 대표적인 증상으로 속 쓰림, 타는 듯한 가슴 통증, 목에서 느껴지는 이물감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식후 30분 내 잦은 속 쓰림을 시달린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 외 가슴 답답함, 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느낌, 가슴통증, 목소리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역류 정도에 따라 오심, 기침, 쉰 목소리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 생활 습관으로 개선될 수 있으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을 통한 치료나 내시경, 수술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대부분은 위내시경 검사로 진단이 이루어지며 위내시경 검사에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식도로 위산 역류 여부를 검사하는 식도 산도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식도 산도 검사는 식도 하부에 산도 여부를 측정하는 작은 기계를 삽입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내의 산도를 검사함으로 위한 역류 여부를 진단합니다.
2.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하부식도괄약근은 위와 식도를 연결해 주는 기능으로 음식물이 들어가지 않을 때는 닫혀 있다 주로 음식을 삼킬 때 식도와 위의 연결부위가 열리고 음식물이 내려간 후 닫히게 됩니다. 이 과정의 하부식도괄약근의 조절 기능 약화로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아 위의 내용물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면서 역류성 식도염이 발병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불편감을 계속 지속되게 하고 식도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만성으로 변하게 됩니다.
생활습관의 꾸준한 관리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증상이 높아져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은 역류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료로 인해 완치가 됐다 하더라도 계속적인 식생활 습관이 바뀌지 않은다면 쉽게 재발되기 쉽습니다.
3. 역류성 식도염 치료방법
위산 분비 억제제 투여하는 방법과 수술을 통한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증세가 심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 일차적인 치료인 금연, 금주, 역류성 식도염에 안 좋은 식습관을 피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닌다면 대부분 호전됩니다. 그러나 약물 치료로 증세가 나아지지 않거나, 약물이 잘 들지 않는 경우, 장기적인 약물 복용이 어려운 경우는 이차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에 식도암 발전 가능성 우려에 의해 수술적 치료를 권장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수술이 최근에 개발된 수술이 아니라 50년 전부터 시행되 오던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수술로 건강보험에 적용되어 보험급여까지 인정되는 수술이라고 합니다. 처음 도입 되었을 때는 개복을 통한 수술이 이루어져 부담이 컸지만 20여 년 전부터는 북강경 수술이 발전하면서 흉터가 남지 않고 합병증 또한 매우 적은 수술이 되었기에 이제는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고 수술로 완치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4. 역류성 식도염 예방방법
위에 좋지 않은 과식과 기름진 음식, 짜고 매운 음식, 카페인 섭취, 탄산음료, 취침 전 음식 섭취 등 위에 자극을 주어 증상을 악화실킬 수 있습니다. 또한 비만과 흡연, 음주는 역류성 위험인자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것들은 피해야 합니다. 바로 식 후 소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눕는 습관은 소화 기관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니 가능한 식사 후 신체를 움직여 위의 소화를 돕는 것이 좋습니다.
허리를 조이는 옷을 입을 시 위에 자극을 주게 되어 좋지 않으며 취침 시 베개를 20cm 이상 높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위에 좋은 음식으로는 양배추, 바나나, 감자 등이 있으며 피해야 할 음식으로는 카페인을 함유한 홍차, 커피가 있으며 술, 양파, 토마토로 만든 제품, 탄산음료, 짜고 기름진 음식 등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해 궤양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 발병이 유발될 수 있고 반복적인 증상이 있을 시 식도 협착이나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어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